2024/brief comment

Small Things Like These

spring_river 2024. 12. 23. 16:03

 





★★★★



# 영화 '말없는 소녀(The Quiet Girl)'을 보고난 뒤
   클레어 키건의 원작소설을 보았고
   또 그녀의 소설에 감명받게 되어
   올초 발간된 차기작 '이처럼 사소한 것들(Small Things Like Thease)'을 보았고
   또 이를 영화화한 이 작품을 이어 보게 되었다.

   이번엔 전작과 달리 소설을 먼저 보고 영화를 나중에 보게 되었는데,
   '클레어 키건의 문장을 킬리언 머피가 완벽하게 연기한' 작품이었다.
   그녀 특유의 간결한 문체의 소설 속에 깃든 다층적인 기운을
   킬리어 머피가 정말이지 매우 탁월하게 구현해 내었다. 
   감독의 연출도 이에 크게 기여했다 생각되는...

   크리스마스 전에
   크리스마스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케 하는 영화였다.

# 영화를 보고나서 소설의 맨 뒷부분을 다시 읽어 보았다.

두 사람은 계속 걸었고 펄롱이 알거나 모르는 사람들을 더 마주쳤다. 
문득 서로 돕지 않는다면 삶에 무슨 의미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나날을, 수십 년을, 평생을 단 한 번도 세상에 맞설 용기를 내보지 않고도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고 부르고 거울 앞에서 자기 모습을 마주할 수 있나?
아이를 데리고 걸으면서 펄롱은 얼마나 몸이 가볍고 당당한 느낌이던지. 
가슴속에 새롭고 새삼스럽고 뭔지 모를 기쁨이 솟았다. 
펄롱의 가장 좋은 부분이 빛을 내며 밖으로 나오고 있는 것일 수도 있을까? 
펄롱은 자신의 어떤 부분이, 그걸 뭐라고 부르든-거기 무슨 이름이 있나?- 
밖으로 마구 나오고 있다는 걸 알았다. 
대가를 치르게 될 테지만, 그래도 변변찮은 삶에서 펄롱은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이와 견줄 만한 행복을 느껴본 적이 없었다. 
갓난 딸들을 처음 품에 안고 우렁차고 고집스러운 울음을 들었을 때조차도.
펄롱은 미시즈 윌슨을, 그분이 날마다 보여준 친절을, 
어떻게 펄롱을 가르치고 격려했는지를, 
말이나 행동으로 하거나 하지 않은 사소한 것들을, 무얼 알았을지를 생각했다. 
그것들이 한데 합해져서 하나의 삶을 이루었다. 
미시즈 윌슨이 아니었다면 어머니는 결국 그곳에 가고 말았을 것이다. 
더 옛날이었다면, 펄롱이 구하고 있는 이가 자기 어머니였을 수도 있었다. 
이걸 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면. 
펄롱이 어떻게 되었을지, 어떻게 살고 있을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었다.
최악의 상황은 이제 시작이라는 걸 펄롱은 알았다. 
벌써 저 문 너머에서 기다리고 있는 고생길이 느껴졌다. 
하지만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일은 이미 지나갔다. 
하지 않은 일, 할 수 있었는데 하지 않은 일-평생 지고 살아야 했을 일은 지나갔다. 
지금부터 마주하게 될 고통은 어떤 것이든 지금 옆에 있는 이 아이가 이미 겪은 것, 
어쩌면 앞으로도 겪어야 할 것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었다. 
자기 집으로 가는 길을 맨발인 아이를 데리고 구두 상자를 들고 걸어 올라가는 
펄롱의 가슴속에서는 두려움이 다른 모든 감정을 압도했으나, 
그럼에도 펄롱은 순진한 마음으로 
자기들은 어떻게든 해나가리라 기대했고 진심으로 그렇게 믿었다.


# 사소해 보일 수도 있으나 결코 사소하지 않은 것들이
   삶을, 세상을 바꾸는 것을 목도하고 있는 12월이다...



   

'2024 > brief com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퉁소소리  (0) 2024.11.26
Paik Kun-Woo & Mozart  (0) 2024.11.14
Shazam  (0) 2024.10.28
The Room Next Door  (0) 2024.10.28
Pinault Collection  (0) 2024.10.22